[출판] 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십/교육/교회

Press Release 보도자료 

[신간]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리더십, 교육, & 교회>(박병기 지음. 거꾸로미디어)

2018년 4월16일

책 내용 인용 / 인터뷰 / 책소개 관련 링크

[보도자료 요약 버전]

변혁적 리더십 박사인 박병기 교수가 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 & 교회’ (거꾸로미디어)라는 책이 지난 2018년 4월12일 발간됐다.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이하 웨신대)의 교수인 저자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기술로만 해석되면 두려움을 주지만 건전한 세계관과 서번트 리더십, 개념적 리더십 관점으로 해석하면 오히려 기회를 준다는 확신을 하고 이 책을 썼다”고 소개했다.

웨신대(총장 정인찬)에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된 강의를 하다가 지인의 권고로 지난해부터 책을 쓰기로 했다는 저자는 같은 학교 봄학기에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된 강의 3개를 진행 중이다.

저자 박병기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라는 미지의 시대를 준비하는 연구를 할 때 개념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의 관점으로 해석을 하며 ‘큰 그림’을 그리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혁명적인 새 시대를 준비할 때 가장 필요한 기초는 ‘건전한 세계관’으로 보았다. 건전한 세계관을 갖고 서번트의 마음으로 시대를 올바로 해석하는 개념적 리더들이 많아질 때 이 혁신적인 시대는 인간에게 혜택을 준다고 저자는 이 책에서 강조했다.

저자 자신은 기독교인이기에 기독교 세계관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지만 리더십, 교육 철학 등은 비기독교인이 읽어도 도움이 되는 부분이 많다.

저자에 따르면 개념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을 갖춘 사람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필요로 하는 4가지 지능을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데 이는 상황맥락지능, 정서지능, 영감지능, 신체지능으로 이 4가지 지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포한 클라우스 슈밥이 내놓은 것이라고 한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FIRE)에 리더로서 필요한 4가지 지능(C.E.I.P.)을 갖추면 기업, 정부, 시민사회, 종교, 학계 리더들이 함께 협력해 총체적 관점을 얻는 능력(상황맥락 지능),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제도화하고 계층구조를 수평화하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격려하는 환경으로 이끄는 능력(정서 지능)으로 이 시대를 이끌게 된다. 또한, 상황맥락 지능과 정서 지능을 갖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함께 탐구하고 발전시키고 공유하면서 (영감 지능) 건강을 유지하고 압박감 속에서 평상심을 유지하는 능력(신체 지능)을 갖춰 이 시대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저자 박병기는 이 4가지 지능을 바탕으로 자신이 한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 프로젝트 등을 이 책에서 설명했다. 그는 이 4가지 지능을 갖추려면 가장 먼저 서번트가 되어야 하고 그리고 서번트 리더가 되어야 하고 그다음에 개념적 리더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그 근저에는 ‘건전한 세계관’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저자는 거듭 강조했다.

이 책의 핵심어를 해시태그로 표현한다면 바로 다음과 같다.

#건전한_세계관 #시대를_해석하는_ 눈 #시대의_인재  #4가지_지능 #개념적_리더십 #서번트_리더십

저자는 다음과 같은 독자가 이 책을 읽으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해 공부를 하고 싶은 분,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에 관해 관심이 있는 분,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에 관해 관심이 있는 분,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단체, 회사 등의 리더들,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교회교육에 관심 있는 분, 세계관에 관심이 있는 분, 나노 학위, 마이크로 칼리지에 관심이 있는 분, 디지털 사고방식에 관심이 있는 분, 지-정-의 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 온라인 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 평생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 다문화 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 <끝>

문의전화: 031-242-7442 / 010-2562-0692
이메일: gugguropress@gmail.com
독자 이메일: gugguromedia@gmail.com
웹: http://gugguro.news

[보도자료 상세 버전]

한국 사회의 리더십, 교육, 교회를 전반적으로  다루는  신간이 나와  화제다.

26년간의 미국 이민 생활을 뒤로 하고 새로운 시대의 새 교육을 위해 모국으로 돌아온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이하 웨신대)의 박병기 교수(변혁적인 리더십 박사. 특임교수)가 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 & 교회’ (거꾸로미디어)가 그것.

저자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기술로만 해석되면 두려움을 주지만 건전한 세계관과 서번트 리더십 관점으로 해석하면 오히려 기회를 준다”는 확신을 하고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웨신대(총장 정인찬)에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된 강의를 하다가 지인의 권고로 지난해부터 책을 쓰기로 했다는  저자는 현재 같은 학교 봄학기에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된 강의 3개를 진행하고 있다.

저자 박병기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라는 미지의 시대를 준비하는 연구를 할 때 서번트 리더십, 개념적 리더십의 관점으로 해석을 했다.

그는 또한 혁명적인 새 시대를 준비할 때 가장 필요한 기초는 ‘건전한 세계관’으로 보았다. 건전한 세계관을 갖고 시대를 올바로 해석할 때 비로소 혁명의 시대가 인간에게 혜택을 준다고 그는 강조했다.

저자 자신은 기독교인이기에 기독교 세계관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이 책에서 나눴다. 그는 또한 우리는 새로운 시대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개념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개념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을 갖춘 사람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필요로 하는 4가지 지능을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데 이는 상황맥락지능, 정서지능, 영감지능, 신체지능으로 이 4가지 지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포한 클라우스 슈밥이 내놓은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FIRE)에 리더로서 필요한 4가지 지능(C.E.I.P.)을 갖추면 기업, 정부, 시민사회, 종교, 학계 리더들이 함께 협력해 총체적 관점을 얻는 능력(상황맥락 지능),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제도화하고 계층구조를 수평화하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격려하는 환경으로 이끄는 능력(정서 지능)으로 이 시대를 이끌게 된다. 또한, 상황맥락 지능과 정서 지능을 갖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함께 탐구하고 발전시키고 공유하면서 (영감 지능) 건강을 유지하고 압박감 속에서 평상심을 유지하는 능력(신체 지능)을 갖춰 이 시대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저자 박병기는 이 4가지 지능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 프로젝트 등을 설명했다. 그는 이 4가지 지능을 갖추려면 가장 먼저 서번트가 되어야 하고 그리고 서번트 리더가 되어야 하고 그다음에 개념적 리더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그 근저에는 ‘건전한 세계관’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저자는 거듭 설명했다.

이 책의 핵심어를 해시태그로 표현한다면 바로 다음과 같다.

#건전한_세계관 #시대를_해석하는_ 눈 #시대의_인재  #4가지_지능 #개념적_리더십 #서번트_리더십

“한국은 기술을 가르치고 배우려 하지만 선진국은 기초를 가르칩니다. 한국은 자격증이 중요하지만 선진국은 그 일을 해낼 자격이 있는지 보는 사회적 눈이 있습니다. 한국은 눈앞의 이익을 보지만 선진국은 공익을 우선으로 한 이익을 봅니다.”

이 책의 표지 뒷면에 나오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저자는 “기본으로 돌아가면 한국도 선진국의 교육, 선진국의 사회로 들어갈 수 있다. 그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이 이 책에 녹아져 있다”고 전했다.

‘5차원 전면 교육’을 개발해 반향을 불러일으킨 카이스트(KAIST)대 출신 원동연 박사는 한국 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말로 일침을 가한 바 있다: “한국인은 영어 성적은 좋으나 영어로 대화할 줄 모르고, 역사지식은 많은데 역사의식은 없고, 과학성적은 높은데 과학적 사고방식을 하지 않으며, 윤리 성적은 높은데 윤리성이 결여되어 있고, 체육 성적은 높으나 건강하지 않다.”

저자는 이에 대한 해답도 역시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했다. 박병기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는 교육다운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결과이다. 교육다운 교육은 무엇인가. ‘큰 그림’을 그리며 진행하는 전인교육, 인간교육, 창의성 교육, 시민교육 등을 말한다. 이를 위해 ‘개념적 교육’이 중요하다. 개념 없이 눈앞의 목표를 이루는 데 급급했기에 지금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개념적 교육이 부족하기 때문에 영어를 그렇게 오랫동안 배워도 영어로 말할 줄 모르고, 역사 컨텐츠를 머릿속에 집어넣어도 역사의식이 부족하고, 과학문제는 잘 풀어내지만 과학적으로 사고하지 못하고, 윤리 시험 점수는 높지만 윤리성이 결여되어 있고 스포츠를 즐기고 지식은 많으나 건강하지 않은 것이다.”

개념적 교육은 무엇을 할 때 ‘개념(concept)’이 분명해서 쉽게 흔들리지 않음으로 이웃들에게 비전을 제공하고 갈대 같은 마음과 생각을 흔들리지 않게 하는 교육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그리고 저자는 그 개념을 잡아주는 것을 1. 세계관 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증강세계)의 4가지 지능(C.E.I.P.)을 위한 개념적 리더십&서번트 리더십 3. 피터 드러커의 5가지 질문에 답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저자는 다음과 같은 독자가 이 책을 읽으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1.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해 공부를 하고 싶은 분
  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에 관해 관심이 있는 분.
  3.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에 관해 관심이 있는 분
  4.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단체, 회사 등의 리더들
  5.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지역교회의 리더들
  6.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교회교육에 관심 있는 분
  7. 세계관에 관심이 있는 분
  8. 나노 학위, 마이크로 칼리지에 관심이 있는 분
  9. 디지털 사고방식에 관심이 있는 분
  10. 지-정-의 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
  11. 온라인 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
  12. 평생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
  13. 다문화 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

문의전화: 031-242-7442 / 010-2562-0692
언론 이메일: gugguropress@gmail.com
독자 이메일: gugguromedia@gmail.com
웹: http://gugguro.news

[저자 소개]

저자 박병기는 미국 UCLA에서 언어학을 전공했고 신학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거쳐 ‘일의 기술’을 전문으로 다루는 미국의 바키대학원에서는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육군 군목(Reserve)을 역임했다.

현재는 웨신대에서 강의하면서 굿뉴스 스프레더스(GNS)의 대표, 거꾸로미디어 출판사의 대표, 거꾸로미디어연구소의 소장, 그리고 거꾸로교육도서관 관장으로 섬기고 있다. 이 4개의 플랫폼을 통해 매칭 플랫폼 미션에 동참하는 것이 저자의 꿈이다. 그의 또다른 꿈은 낙도와 같은 소외된 지역으로 들어가 선교하는 것이다.

저자는 현재 웨신대에서 미래교육리더십학과, 서비스경영교육학과를 담당하고 있다. 그는 기독교 리더 중에는 아브라함 카이퍼, 리처드 마우, 팀 켈러, 마이클 호튼 등을 존경하고 일반 분야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의 대가인 로버트 그린리프와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인 피터 드러커의 리더십 철학을 따른다.

시대를 읽는 눈은 현장에서 체험을 통해 배우기도 한 저자 박병기는 언론계에서 10년 동안 활동했으며 그는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온라인 매체를 세워 디지털 문화와 언어 관련 훈련을 받았다.

저자 연락처: gugguro21@gmail.com

[서지 사항]

펴 낸 날          초판 1쇄  2018년 4월 12일
지  면   수       224페이지
지 은 이          박병기
펴 낸 곳          거꾸로 미디어
펴 낸 이          박병기
편집자문         임사라
교정/교열        김귀옥
표지디자인      송은승
미국협력         굿뉴스프레더스
출판등록          2017년 5월 12일 제 353-2017-000014호
주         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세지로 285 (101호)

대표전화 031-242-7442
홈페이지 https://gugguro.news
전자우편 gugguromedia@gmail.com
ISBN  979-11-961443-2-6 (93230)

ⓒ 박병기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
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CIP제어번호: CIP2018009789)」

[목차]

개요

미래교육

대안교육

FIRE LEADERSHIP

FIRE LEADERSHIP과 교회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제4차 산업혁명 시대(FIRE)란 무엇인가

인공지능(AI)

사물 인터넷

3D프린팅

자율주행 자동차

블록체인

증강현실과 증강세계

공유경제

플랫폼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 – Z세대, 디지털 종족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 – 소프트파워 시대의 리더십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 – 디지털 사고방식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 – 나노 학위와 도제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 –  4가지 지능(C.E.I.P.)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 –  지, 정, 의, 체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 –  개념적 리더십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 –  문화명령을 받은 사람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 –  예수 그리고 교회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 교회 교육  플랫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 기독교 대안교육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 세인트존스대와 올린공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커리큘럼1- 기독교 온라인 교육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커리큘럼2 – 방과후 교육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커리큘럼3 – 마이크로네이션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커리큘럼4 – GNS 온라인 교육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커리큘럼5 – 하이브리드 신학교육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커리큘럼6 – 미래교육리더십학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커리큘럼7 – 테물렝 프로젝트(다문화교육)

결론

특별기고 (박원희 목사: 제4차 산업혁명과 지역교회)

이 책과 연관된 글 모음

풋볼 영화  Facing the Giants와 5차원  전면 교육

존 우든의 리더십

저자소개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