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 & 교회

[기독교연합신문] 고령화·4차산업혁명이 바꿀 신학교의 미래 (2018년 4월16일자)

[이전 내용 생략] 거꾸로미디어연구소의 박병기 소장은 본인의 저서 ‘4차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교회’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가 오면 증강세계를 염두에 둔 ‘하이브리드 신학교육’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이브리드 신학교육’은 주로 온라인에서 공부하지만, 오프라인에서 교제와 학습의 시간을 갖는 형태다.

특히 개론분야에서 큰 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자동번역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세계적인 석학의 강의를 클릭 몇 번으로 들을 수 있게 된다는 이야기다. 이미 하버드와 예일 대학이 신학강의를 온라인에 공개하고 있다. 기술로 발달로 인해 언어의 장벽이 사라지게 되면 온라인 강의가 현재의 오프라인 개론 수업을 대신할 수도 있다.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의 김선일 교수는 “온라인 교육이 보편화 될 경우 많은 교수들이 ‘조교화’ 될 수 있다. ‘어시스턴트’ 혹은 ‘멘토’의 역할이 더 중요하게 대두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또 “그동안 대가나 권위자의 모습을 흉내 냈던 것들이 더 이상 불가능해진다”며 “대신 영성과 연결된 부분이나 현장성의 측면에서 교수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것이다. 신학교수의 진정한 역할은 단순 지식전달보다 영성과 지혜를 전수하는 것이니 만큼 본질적 변화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후략]

기사 출처: 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6332

[크리스찬저널]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리더십, 교육, & 교회』 (2018년 4월18일자)

한국 사회의 리더십, 교육, 교회를 전반적으로 다룬 신간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리더십, 교육, & 교회』가 4월에 출간되었다. 26년간의 미국 이민 생활을 뒤로 하고 새로운 시대의 새 교육을 위해 한국으로 간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이하 웨신대)의 박병기 교수(변혁적인 리더십 박사. 특임교수)가 저술했다.

남가주 얼바인에 있는 베델한인교회(김한요 목사 담임)의 전임 사역자였던 저자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기술로만 해석되면 두려움을 주지만, 건전한 세계관과 서번트 리더십 관점으로 해석하면 오히려 기회를 준다”고 말한다. 웨신대(총장 정인찬)에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된 강의를 하다가 지인의 권고로 지난해부터 책을 쓰기로 했다는 저자는 현재 같은 학교 봄학기에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된 강의 3개를 진행하고 있다. [후략]

기사 출처: http://www.kcjlogos.org/news/articleView.html?idxno=13838

[크리스찬포커스] [신간소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 & 교회 (2018년 4월19일자)

한국 사회의 리더십, 교육, 교회를 전반적으로 다루는 신간이 나와 화제다. 26 년간의 미국 이민 생활을 뒤로 하고 새로운 시대의 새 교육을 위해 모국으로 돌아온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이하 웨신대)의 박병기 교수(변혁적인 리더십 박사. 특임교수)가 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 & 교회’(거꾸로미디어)가 그것. 저자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기술로만 해석되면 두려움을 주지만 건전한 세계관과 서번트 리더십 관점으로 해석하면 오히려 기회를 준다”는 확신을 하고 이 책을 썼다고 한다.

기사 출처: http://www.christianfocus.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30&item=&no=5965

[크리스찬타임스] <신간>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리더십, 교육, & 교회 (2018년 4월19일자)

미주한인 출신으로 변혁적 리더십 박사 박병기 교수가 쓴‘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 & 교회’(거꾸로미디어)라는 책이 최근 발간됐다.

미국 이민 생활 26년을 마치고 교육 사역을 위해 고국으로 돌아간 저자는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이하 웨신대)의 특임교수로 일하면서 쓴 이 책을 통해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기술로만 해석되면 두려움을 주지만 건전한 세계관과 서번트 리더십, 개념적 리더십 관점으로 해석하면 오히려 기회를 준다는 확신을 공유하고자”했다고 전했다. <후략>

기사 출처: http://www.kctusa.com/technote7/board.php?board=life&config=2&sort=wdate&command=body&no=3835#.WtrFx4huZPZ

[오센] [신간] ‘제 4 차 산업혁명시대의 리더십, 교육, & 교회’ (2018년 4월25일자)

[OSEN=서정환 기자] 미주 한인 출신인 변혁적 리더십 박사 박병기 교수가 쓴 ‘제 4 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 & 교회’ (거꾸로미디어)라는 책이 최근 발간됐다.

미국 이민 생활 26 년을 마치고 교육 사역을 하기 위해 고국으로 돌아간 저자는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이하 웨신대.경기도 용인시)의 특임교수로 일하면서 쓴 이 책을 통해 “제 4 차 산업혁명 시대가 기술로만 해석되면 두려움을 주지만 건전한 세계관과 서번트 리더십, 개념적 리더십 관점으로 해석하면 오히려 기회를 준다는 확신을 공유”하고자 했다고 전했다.

남가주 얼바인 소재 베델한인교회(담임목회자 김한요) 전임 사역자였던 저자는 웨신대(총장 정인찬)에서 ‘제 4 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된 강의를 하다가 지인의 권고로 지난해부터 책을 쓰기로 했다고 한다. 그는 현재 같은 학교 봄학기에 제 4 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된 강의 3 개를 진행 중이다. [후략]

[기독교 한국신문]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 &교회> 출간

한국 사회의 리더십, 교육, 교회를 전반적으로 다루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 &교회>가 출간됐다.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의 박병기 교수(변혁적인 리더십 박사. 특임교수)가 지은 이책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라는 미지의 시대를 준비하는 연구를 할 때 서번트 리더십의 관점으로 해석을 했다.

기사출처: http://www.c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06

56440_38403_841.jpg

[기독교연합신문] 신학교, 변화에 발맞추며 시대의 물음에 답하라​​​​​​​​​​​​​​

거꾸로미디어연구소의 박병기 교수는 자신의 저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리더십, 교육&교회’에서 “기독교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리더십을 가질만한 인프라(성경을 통한 온전한 영성훈련이 되었고 이로 인해 건전한 세계관을 장착함)가 구축됐지만, 리더들이 깨어나지 못하면 이미 가진 것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제는 신학교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인재, 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갈 리더를 양육하기 위한 변화에 나설 때”라고 진단했다.

기사출처: 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6440​​​​​​​

 

[한국기독신문] ​​​​​​​​​​​​​​ ‘큰 그림’ 으로 사고하면 제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보인다.

기독교인이 아닌 분들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도 있고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독자분들에게는 ‘목적이 이끄는 삶’이라는 책을 연상하시면 어떨까 하고 권유하고 싶다. 릭 워렌 목사가 쓴 ‘목적이 이끄는 삶’은 새들백이라는 커뮤니티에서 어떻게 교회를 세웠는지에 대한 이야기다. 교회의 이야기가 어떻게 베스트셀러가 되었을까 생각을 해보았다. 이 책에는 세계관, 시대를 읽는 눈, 시대가 요구하는 사람, 미션, 비전, 고객(교인), 고객 가치(교인이 가치 있게 생각하는 것), 예상되는 결과, 계획이 펼쳐져 있다. 즉 큰 그림을 보여준다. 기독교 컨텐츠를 통해서 아래와 같은 ‘큰 그림’을 볼 수 있기에 많은 분이 이 책을 읽었던 것으로 나름 해석을 했다. 나의 책도 그런 기회를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국민일보] [책과 영성]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교육&교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은 무엇일까. 한국의 교육기관과 교회는 시대가 필요로 하는 리더를 키워낼 준비를 하고 있는가.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 사회문화교육학과 특임교수이자 거꾸로미디어 연구소를 세워 대안교육을 모색하는 박병기 목사가 이에 대한 생각을 풀어냈다.

기사출처: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49972